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경상남도 오일장 일정표를 소개하겠습니다. 오일장은 지역 주민들이 직접 재배한 농산물과 수공예품을 판매하며 다양한 먹거리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단순한 장터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지역 사회의 문화와 전통을 이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경기도 오일장도 궁금 하신 분은 아래 버튼에서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1. 오일장의 역사와 중요성
오일장은 조선시대부터 이어져 온 전통적인 시장 형태로 농업 중심의 사회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농민들은 자기가 재배한 농산물을 팔고 필요한 물건을 구입하기 위해 장에 모였습니다.
이러한 전통은 현대에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으며 오일장은 지역 경제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역 농산물의 소비를 촉진하고 농민들에게는 안정적인 소득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경상남도 오일장 일정표
통영, 양산, 의령, 진주, 창녕, 창원 오일장
지역 | 시장 | 장날 | 주소 |
통영시 | 통영중앙전통시장 | 2일 + 7일 (상설 + 오일장) |
중앙시장1길 14-16 |
양산시 | 양산남부시장 | 1일 + 6일 (상설 + 오일장) |
양산시 중앙로 133 |
양산시 | 신평시장 | 3일 + 8일 (상설 + 오일장) |
하북면 신평강변 3길 11 |
양산시 | 서창시장 | 4일 + 9일 (오일장) |
서창서 2길 5 |
양산시 | 석계전통시장 | 4일 + 9일 (오일장) |
상북면 삼계 4길 2 |
의령군 | 신반시장 | 4일 + 9일 (오일장) |
부림면 신반리 519-2 |
의령군 | 의령전통시장 | 3일 + 8일 (상설 + 오일장) |
의령읍 서동리 490-7 |
의령군 | 궁류시장 | 1일 + 6일 ( 오일장) |
의령군 궁류면 운계리 938-4 |
진주시 | 문산상설시장 | 2일 + 7일 (오일장) |
문산읍 소문길 68 |
진주시 | 일반성5일장터 | 3일 + 8일 (상설 + 오일장) |
일반성면 동부로 2019-3 |
진주시 | 금곡시장 | 1일 + 6일 ( 오일장) |
금곡면 두문리 632-4 |
창원시 | 마천시장 | 5일 +10일 (오일장) |
진해구 마천동 235 |
창원시 | 진동시장 | 4일 + 9일 (상설 + 오일장) |
마산합포구 진동면 서촌길 3-29 |
창원시 | 웅천시장 | 4일 + 9일 (오일장) |
진해구 웅천중로 56번길 8 |
창원시 | 상남시장 | 4일 + 9일 (오일장) |
성산구 마디미로 28 |
창원시 | 경화시장 | 3일 + 8일 (상설 + 오일장) |
진해구 경화동 1765-6 |
창원시 | 소답시장 | 2일 + 7일 (오일장) |
의창구 읍성로 33번길 12-1 |
창원시 | 지귀시장 | 1일 + 6일 ( 상설 + 오일장) |
의창구 창이대로 205번길 8-3 |
창녕군 | 영산시장 | 5일 +10일 (오일장) |
영산면 신영산로 56 |
창녕군 | 이방시장 | 4일 + 9일 (오일장) |
이방면 이방대합로 351 |
창녕군 | 창녕시장 | 3일 + 8일 (상설 + 오일장) |
창년읍 창녕시장길 100 |
창녕군 | 대합시장 | 2일 + 7일 (오일장) |
대합면 도장골길 4-13 |
창녕군 | 남지시장 | 2일 + 7일 (오일장) |
남지읍 본동길 4 |
거제, 김해, 남해, 거창, 고성 오일장
지역 | 시장 | 장날 | 주소 |
거제시 | 거제종합시장 | 4일 + 9일 (상설 + 오일장) |
거제면 읍내로 2길 28 |
김해시 | 장유전통시장 | 3일 + 8일 (상설 + 오일장) |
장유로 287 - 22 |
김해시 | 진례재래시장 | 5일 + 10일 (상설 + 오일장) |
진례면 송현로 6 |
김해시 | 진영전통시장 | 4일 + 9일 (상설 + 오일장) |
진영읍 진영산복로 115번길 9 |
남해군 | 이동공설시장 | 5일 + 10일 (상설 + 오일장) |
이동면 무림로 63번길 9 |
남해군 | 남면공설시장 | 4일 + 9일 (상설 + 오일장) |
남면 당항리 1381-5번 |
남해군 | 지족공설시장 | 2일 + 7일 (상설 + 오일장) |
삼동면 동부대로 1876번길 30-1 |
남해군 | 남해전통시장 | 2일 + 7일 (상설 + 오일장) |
남해읍 화전로 110 |
거창군 | 거창시장 | 1일 + 6일 (상설 + 오일장) |
거창읍 중앙로 140 |
고성군 | 영오재래시장 | 2일 + 7일 (상설 + 오일장) |
영오면 문산로 3 |
고성군 | 배둔시장 | 2일 + 7일 (상설 + 오일장) |
회화면 배둔로 31번길 31 |
고성군 | 고성전통시장 | 1일 + 6일 (상설 + 오일장) |
고성군 거진시장길 15 |
밀양, 산청, 산청 오일장
지역 | 시장 | 장날 | 주소 |
밀양시 | 송백시장 | 5일 + 10일 (오일장) |
산내면 산내로 344-1 |
ㄱ밀양시 | 삼랑진송지시장 | 4일 + 9일 (상설 + 오일장) |
삼랑진읍 송지리 359-16 |
밀양시 | 수산시장 | 3일 + 8일 (오일장) |
하남읍 시서길 16 |
밀양시 | 밀양아리랑시장 | 2일 + 7일 (상설 + 오일장) |
상설시장1길 11 |
밀양시 | 무안시장 | 1일 + 6일 (상설 + 오일장) |
무안면 사명로 502-12 |
산청군 | 단성시장 | 5일 + 10일 (오일장) |
단성면 목화로 968번길 17 |
산청군 | 화계시장 | 4일 + 9일 (오일장) |
산청군 금서면 주상리 |
산청군 | 덕산시장 | 4일 + 9일 (오일장) |
시천면 남명로 188-5 |
산청군 | 단계시장 | 4일 + 9일 (오일장) |
신등면 신차로 500-3 |
산청군 | 생초시장 | 3일 + 8일 (오일장) |
생초면 생초로 35-30 |
산청군 | 산청시장 | 1일 + 6일 (상설 + 오일장) |
꽃봉산로 91번길 27 |
사천시 | 완사시장 | 1일 + 6일 (오일장) |
곤명면 완사 2길 12 |
사천시 | 삼천포종합시장 | 4일 + 9일 (상설 + 오일장) |
동금 2길 15 |
사천시 | 삼천포중앙시장 | 4일 + 9일 (상설 + 오일장) |
사천시 건어시장길 20 |
사천시 | 서포시장 | 4일 + 9일 (오일장) |
서포면 자구로 473 |
사천시 | 곤양종합시장 | 5일 + 10일 ( 오일장) |
곤양면 남산로 65 |
하동, 합천, 함안, 함양 오일장
지역 | 시장 | 장날 | 주소 |
하동군 | 계천공설시장 | 5일 + 10일 ( 오일장) |
금남면 섬진강대로 977 |
하동군 | 횡천공설시장 | 5일 + 10일 ( 상설 + 오일장) |
횡천면 문화2길 24 |
하동군 | 북천공설시장 | 4일 + 9일 (오일장) |
북천면 직전리 597-1 |
하동군 | 진교공설시장 | 3일 + 8일 ( 상설 + 오일장) |
진교면 선창길 24 |
하동군 | 옥종공설시장 | 3일 + 8일 ( 오일장) |
옥종면 청룡리 124-15 |
하동군 | 하동공설시장 | 2일 + 7일 ( 상설 + 오일장) |
하동읍 시장 1길 16-3 |
합천군 | 묘산시장 | 1일 +6일 ( 오일장) |
묘산면 묘산로 164 |
합천군 | 삼가시장 | 2일 + 7일 ( 상설 + 오일장) |
삼가면 일부5길 1 |
합천군 | 야로시장 | 2일 + 7일 ( 오일장) |
야로면 시장길 7-5 |
합천군 | 가야시장 | 5일 + 10일 ( 오일장) |
가야읍 가야8길 8-5 |
합천군 | 초계시장 | 5일 + 10일 (상설 + 오일장) |
초계면 내동3길 12-7 |
합천군 | 합천왕후시장 | 3일 +8일 (상설 + 오일장) |
합천읍 옥산로 44 |
함안군 | 대산전통시장 | 1일 + 6일 (오일장) |
대산면 대산중앙 4길 60 |
함안군 | 칠원공설시장 | 3일 + 8일 (오일장) |
칠원읍 서남 3길 15 |
함안군 | 군북공설시장 | 4일 + 9일 (오일장) |
군북면 중암리 83-10 |
함안군 | 가야상설시장 | 5일 + 10일 (상설 + 오일장) |
가야읍 말산리 47-1 |
함양군 | 서상시장 | 4일 + 9일 (오일장) |
서상면 도천리 1704-5 |
함양군 | 마천전통시장 | 5일 + 10일 ( 오일장) |
마천면 천왕봉로 1144-2 |
함양군 | 안의시장 | 5일 + 10일 ( 오일장) |
안의면 약초시장길 25-10 |
함양군 | 함양토종약초시장 | 5일 + 10일 (상설 + 오일장) |
안의면 약초시장길 27 |
4. 오일장 방문 시 유의사항
오일장을 방문할 때는 몇 가지 유의사항이 있습니다.
- 첫째, 장날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이기 때문에 혼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리 방문 계획을 세우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둘째, 현금 거래가 일반적이므로, 충분한 현금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마지막으로 지역 주민들과의 소통을 통해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지역 문화를 경험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5. 마무리 및 추천
경상남도의 오일장은 단순한 장터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지역 주민들의 삶의 일부분이며 전통과 문화를 이어가는 중요한 공간입니다. 오일장을 방문하여 지역 농산물과 특산물을 구매하고 지역 주민들과의 소통을 통해 더 깊은 경험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